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30년(1991 ~ 2009)
권 경 곤
제1대 1992~19941991
- 대한약사회 명예회장(민관식)과 회장(김명섭)이 보건복지부장관을 예방, 약사회가 주도적으로 마약퇴치 관련 협회 설립 합의
- 대한약사회 제2차 이사회에서 마약퇴치 관련 단체 설립 결의
1992
- 대한약사회 회장단, 상임이사, 시·도약사회장으로 구성된 발기인대회 개최
- 설립허가(보건복지부장관 설립허가 제70호)
- 창립기념식과 현판식 거행(권경곤 이사장)
- UN 세계마약퇴치의 날 기념 국민대행진 개최(서울신문사와 공동개최,~2002년까지)
1993
- 상담활동 시작(080-022-5115)
- 마약류 예방교육용 시청각자료 개발보급(매년 1종 이상)
- 학교예방교육 및 마약퇴치 캠페인 시작

국민대행진(서울신문사 공동개최)

마약퇴치운동

김양배 보건복지부 장관외 내외귀빈 기념촬영
민 관 식
제2,3대 1994~20011994
- 창립 기념식
- 공익성기부금 인정(재무부령 제1977호, 1978호)
- PC통신에 마약류 폐해 정보 제공 시작(하이텔, 나우컴, 천리안)
- 소식지 ‘마약 없는 밝은 사회’ 창간
1995
- 본부 사무실 이전 (대한약사회관-식품공업협회회관)
- ARS를 활용한 마약류 및 약물남용 폐해 정보 제공(4회선)
- 이동홍보차량 청와대 방문하여 대통령 내외분 영접, 대통령 내외분이 마약퇴치 후원회에 가입(후원회 발족)
- 이동홍보반 발대식(아시아자동차 35인승 버스 기증)
- 햇살교실(마약류사범대상 집단상담 교육) 시작
- 마약류 및 약물남용상담 기초교육과정 진행
1996
- TV마약퇴치 광고(KBS, MBC, SBS)
- 마퇴교실(고위험 청소년대상 집단상담 교육)시작
1997
- 인터넷 홈페이지(drugfree.or.kr) 오픈
- 또래상담자 프로그램 시작
- 운동본부 마크(로고) 및 캐릭터 확정
- 제1차 마약류 퇴치 심포지엄 개최
대검찰청 문효남 마약과장 마약퇴치대상 시상
1998
- 주무관청 변경(보건사회부→식약청)
- 교육부로부터 교사연수교육기관으로 지정되어 보건교사대상으로 약물남용예방강사교육 실시(3박4일, 100명)
- 국제약물남용예방협의체(IFNGO) 정회원 가입
1999
- 축구선수 이동국 마약퇴치홍보대사 위촉
- 제1회 청소년을 위한 놀자콘서트 개최(TV 녹화방송)
- 인터넷 홈페이지 재개통(www.drugfree.or.kr/www.nolja.org)
2000
- 서울보호관찰소 수강협력기관 지정
- H.O.T. 마약퇴치 홍보대사 임명
- 마약퇴치 성금전화 개통(060-700-1318)
- 제2회 청소년을 위한 마약퇴치 콘서트(TV녹화방송)
(왼쪽 사진)홍보대사 이동국 / H.O.T. 임명식
김 명 섭
제4,5,6대 2001~20102001
-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(식품의약품안전청)
- 휴가철 고속도로 이용차량 대상 마약퇴치캠페인
- 제3회 청소년마약퇴치콘서트 개최(MBCTV녹화방송)
- 강석, 김혜영 마약퇴치홍보대사 위촉(~2004)
2002
- 당산동청사 입주(당산동 6가 238번지, 연면적 215평)
- 창립 10주년, 신청사 입주 및 중독재활센터 개원(구 송천재활센터)
- 마약퇴치 홍보대사로 카이홀맨 위촉
- 수강명령 대상자 및 검찰의 교육조건부 기소유예대상자 교육프로그램 시행
- 법정단체화(근거 :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51조의2)
2003
- 공익성 기부단체 지정(재정경제부)
- 마약퇴치 국토순례 발대식
- 세계마약퇴치의 날 기념식 및 심포지엄(단독개최)
- 제1회 마그미상 시상
2004
- 마약류퇴치 포스터 공모전 시행
- 홈페이지 영문사이트 운영
2005
- 마약류퇴치 홍보관(송천홍보관) 개관
- 수기 공모전 시행 및 수기집 발간(5천 부)
- 탤런트 이의정 마약퇴치 홍보대사 위촉
이의정
2006
- TV시청자 프로그램 방영(KBS1)
- 인터넷상 청소년 유해약물 모니터링 사업
- 고양보호관찰소 수강협력기관 인증
- 마약류 심각성에 관한 국민인식도 조사(매년 1회)
2007
- 서울남부보호관찰소 수강협력기관 인증
- 인터넷상 유해약물 판매행위 모니터링
- 서울동부보호관찰소 수강협력기관 인증
- UN국제마약통제위원회(INCB) 부위원장단 방문
- 성인 및 청소년 대상 마약류 폐해 인식도 조사
- 제2회 마약류 중독자 재활수기집 발간
2008
- 국제 교육프로그램 참석
인도 첸나이 가족치료 여성상담가 훈련프로그램(9.8.~12.)
베트남 하노이 아웃리치센터 개발 워크숍(9.22.~25.)
필리핀 제3차 아시아 회복 심포지엄(11.4.~6.)
태국 방콕 제7차 아시아치료공동체연맹회의(11.10.~12.)
말레이시아 쿠알라 룸푸르 제2차 종교지도자 국제회의(11.24.~27.)
인도네시아 발리 치료재활프로그램 관리 워크숍(12.9.~12.)
2009
- 마약퇴치 강사용 교육교재 개발
- 청소년 마약퇴치 예방단 구성 운영
- 집단상담 프로그램 매뉴얼 제작

휴가철 고속도로 캠페인

당산동 새청사 입주

국토순례 발대식

한국국제마약학회

베트남 국제 교육프로그램 참석

마약류퇴치 심포지엄

마약류퇴치 심포지엄